콘텐츠로 이동

RMB/CNY 절상의 이상하게 인기 없는 주장 | VanEck

원제목: The Curiously Unpopular Case for RMB/CNY Appreciation | VanEck

요약: 2025년, 관세로 인해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들이 자국 통화를 평가절하할 것이라는 당시의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위안화(CNY)는 2024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신흥국 현지 통화 부채는 7월 30일 기준 약 12%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위안화 강세를 주요 요인으로, 중국 당국의 위안화 국제화 목표와 소비자 실질소득 및 자산 증대, 인플레이션 억제 및 기대 관리에 부합하는 결과입니다. 이는 주요 불균형을 해소하고 재정적 부양책을 정당화하며, 관세에 대한 평가절하 대응으로 인한 무역 전쟁 위험을 완화합니다. 많은 신흥국들에게는 통화 가치 상승 압력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의미합니다.

본 논문은 위안화 가치 상승에 대한 논의를 제시합니다. BIS 실질실효환율 모델을 이용한 분석 결과, 위안화는 약 30%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과의 낮은 인플레이션 차이에 기인합니다. IMF의 인플레이션 전망치 비교를 통해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하향 조정되고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상향 조정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위안화 강세와 미 달러 약세로 이어졌습니다.

중국은 미국(및 세계)에 대한 순자산 흑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보유한 위안화 자산보다 중국이 보유한 달러 자산이 더 많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순 국제 투자 지위는 균형표 측정치이며, 중국의 수출 증대를 위한 평가절하 대응보다는 중국이 보유한 달러 자산의 매각 및 자국 환류라는 설명이 더 타당합니다. 이는 일일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고시환율이 예상치를 상회한 점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강력한 대외 자산 보유가 위안화 강세의 주요 원인이며, 이는 중국 및 많은 신흥국들이 달러 기준 순 채권국임을 시사합니다.

원문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