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미국 물가, 트럼프 관세의 소비자 물가 영향으로 계속 상승 - 가디언¶
원제목: US prices continued rise in July as Trump tariffs impact consumer costs - The Guardian
요약: 7월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에 따르면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었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의 국제 관세 정책 변화가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을 시사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7월 물가는 전년 대비 2.7% 상승했으며, 봄철 물가 상승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4월 이후 연간 물가 상승률은 0.4% 증가했습니다. 6월과 7월 사이에는 물가 상승률이 안정세를 유지했지만,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전월 대비 3.1% 상승하여 6월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외식 물가의 상승(전년 대비 3.9%)이 전체 식품 물가(2.9% 상승) 상승을 견인했고, 중고차, 주택, 의료비 가격 또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에너지 가격은 전년 대비 1.6% 하락하여 전체 물가 상승률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가 미국 경제에 일정 부분 혼란을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신 지표이며, 공화당의 '경제 호황' 주장과는 대조적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전반적인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와 더불어 여러 국가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포함하며, 일부 업체들은 관세 영향을 지연시키기 위해 재고를 늘려왔지만, 최근 물가 상승은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관세는 또한 경제학자들의 예상보다 노동 시장에 더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5월과 6월 고용 지표는 수정을 거쳐 초기 발표치보다 크게 감소했으며, 이는 물가 상승과 더불어 미 연준을 어려운 입장에 놓이게 했습니다. 연준의 이중 목표인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 유지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관망하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지표 발표 이후에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을 공격하고, 노동 통계국(BLS) 국장을 해임하는 등 지속적인 갈등을 보이고 있습니다.